방어기제/발리언트 범주
정신과 의사인 조지 발리언트는 4단계 방어기제의 구분을 제시했다.
1단계 : 병적 방어기제(pathological defences)-
정신병적 자기부정(psychotic denial), 망상적 투사(delusional projection), 왜곡(distortion)
2단계 : 미성숙 방어기제(immature defences)-
공상(fantasy), 투사(projection), 수동적 공격성(passive aggression), 행동화(acting out)
3단계 : 신경증적 방어기제(neurotic defences)-
주지화(intellectualizion),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해리(dissociation), 전위(displacement), 억압(repression)
4단계 : 성숙 방어기제(mature defences)-
유머(humour), 승화(sublimation), 억제(suppression), 이타심(altruism), 기대(anticipation)
1단계 병적 범주
병적 수준(심각한)의 방어기제에 해당한다. 이런 방어기제는 서로 동시에 나타나는데, 외부적인 경험을 다시 정비해서 현실 세계를 대하는 욕구 자체를 없애버린다. 이런 방어기제를 사용한 사람은 제정신이 아니거나, 비합리적인 것처럼 보인다. 정신병적인 측면으로 보면 병적인 방어기제지만, 꿈을 꾸거나 유년기에 이런 방어기제가 흔하게 보이기도 한다.
자기부정 : 많이 위협적이고, 외적 경험을 받는 것을 거부한다. 불안을 유발하게 하는 자극을 언급하면서 이에 대해 반대하는 건 없다. 외적인 현실의 불쾌한 부분을 인지하고 있거나, 의식적으로 알려고 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정서적인 갈등을 해소하고 불안을 제거하게 된다.
망상적 투사 : 외적인 현실에 대한 피해망상적이거나 망상을 하는 것
왜곡 : 내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외적인 현실을 기이하게 다시 구성한다.
2단계 미성숙 범주
성인에게 자주 보인다. 이 방어기제는 고통스러운 현실이나 위협을 가하는 사람이 유발하는 스트레스나 불안을 완화한다. 현실과 거의 소통을 하지 않거나, 현실을 보는 데 있어서 미성숙하거나 어려운 점에서 남용하게 되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기에, 이런 점에서 ‘미성숙’이라고 한다. 또한, 현실을 제대로 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보통 인격장애나 중증 우울증이 있는 사람에게 잘 나타난다.
행동화 : 겉으로 드러나게 행동하는 것에 감정을 의식적으로 인지하지 않고, 무의식 속으로 충동이나 소원을 행동하는 것으로 직접 드러내는 것이다.
수동 공격성 행동 : 적대의 간접적인 표현이다.
건강염려증 : 심각한 질병이 있지도 않은데, 생길 거라고 과도하게 걱정하거나 몰입하는 것이다.
투사 : 편집증의 원초적인 형태다. 충동이나 욕구를 의식적이게 인지하지 않으며, 그대로 표현하면서 불안을 제거하는 것이다. 받아들일 수 없다거나 알지 못한다거나 원치 않는 감정이나 생각이 생겨서 남 탓을 하는 경우다. 심각한 질투나 선입견, 외부 위험에 대해서 과거 불평등했던 것들을 잊거나 용서하지 않고 계속 쌓아두는 행위 등 수반되고 있다. 자신이 가진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느낌과 생각, 신념, 충동, 동기를 타인에게 옮겨서 이런 모든 잘못이 타인의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분열성 환상 : 내적과 외적 갈등을 해소하려고 환상을 내보이며 후퇴하는 경향이다.
3단계 신경증적 범주
성인에게 흔한 것이다. 단기적인 것으로 효과 있어 보이지만, 외부의 세계를 대하는 것에 있어서 기본적인 방어기제로 사용하게 되어서 업무, 대인관계, 행복한 삶에 있어서 장기적인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전위 : 성적인 충동이나 공격성인 충동을 보다 수용할 수 있게 하거나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감정을 안전하게 배출한다.
퇴행 : 즐거움을 주는 욕구를 몰아내려고 한다. 그 욕구가 충족되는 경우에 느끼는 고통에 관한 위협으로 유발된다. 욕구는 무의식으로 옮겨져 의식으로 돌아오는 것을 막으려고 하는데, 천진무구나 기억력 감퇴의 상황이나 조건에 대해서 인지가 부족함이 보이기도 한다.
반동형성 : 사회적으로 수용되지 못한 충동이나 바람을 정반대로 바꾸는 것이다. 실제 자신이 느끼거나 원하는 것의 정반대로 행동한다.
해리 : 정서적인 스트레스를 피하려고 개인이 가진 성격이나 정체성을 한순간으로 극적인 것으로 바꾼다. 사고나 상황을 수반하는 감정이 느끼는 것을 뒤로 미루거나, 자신이랑 분리하는 것이다.
주지화 : 소외 방식이다. 상황에 따른 이성적인 요소에만 집중하면서 불안을 유발하는 감정이랑 거리 두는 것이다. 사고로부터 감정을 분리하게 시키기도 한다.
4단계 성숙 범주
보통 건강한 성인에게 보인다. 미성숙한 발달단계에 근원이 있는데, 성숙한 것을 말한다. 의식적 과정이자, 수년 동안 적응한 사회활동과 인간관계에서 성공하는 것을 극대화한다. 절제력과 유쾌함을 높여서 갈등을 유발하는 사고와 감정을 통합하여 효과가 높다.
억제 : 현실을 대처하려고 감정, 사고, 욕구를 주목하여 미뤄두는 의식적인 결정
승화 : 무익한 본능이나 감정을 사고, 감정, 건강한 행동으로 고치는 것. 럭비나 축구 등 신체 활동이 많은 운동을 하면서 게임으로 공격성을 돌린다.
이타심 : 타인에게 만족감과 유쾌함을 주는 건설적인 것
유머 : 타인에게 유쾌함을 주는 감정과 생각을 드러내서 표현하는 것. 생각이란 그 자체에서 스트레스가 나타나는 부분도 있지만, 말재주로 사고를 피해간다.
예측 : 나중에 발생할 좋지 않은 일에 대비해서 현실적인 준비를 하는 것.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의식에 대하여 (1) (0) | 2024.02.02 |
---|---|
편집성 인격장애(PPD) (0) | 2024.02.02 |
칵테일 파티 효과에 대하여 (0) | 2024.01.16 |
심리검사 종류2 (객관적, 직접 관찰, 흥미, 신경심리학) (0) | 2023.05.13 |
심리검사 종류1 (적성, 아이큐, 공공안전취업, 태도, 성격, 투사/투영) (0) | 2023.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