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2

고전적 조건 형성과 실험, 파블로프 고전적 조건 형성 Classical Conditioning 행동주의 심리학 이론이다. 특정한 반응을 끌어내지 못한 자극(중성)이 그 반응을 무조건으로 끌어내는 자극(무조건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하면서 그 반응을 유발하게 하는 과정이다. 이반 파블로프의 ‘개 실험’이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은 특정한 자극에 따라서 나타나는 반응은 다른 성질 자극으로 똑같이 만들 수가 있다며 주장했다. 러시아의 생리학자다. 개요 생체가 원래 가지고 있는 반응 (UR; UnConditioned Response) 예) 개가 침을 흘린다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 (US; UnConditioned Stimulus) 예) 개한테 주는 음식 무조건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자극 (NS; Neutral Stimulus.. 2024. 2.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급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생명에 대한 불안이나 신체적인 손상 등 정신적인 충격을 수반하여 사고를 겪은 후에 심적으로 외상을 받아, 나타나는 정신적인 질환이다. 충격 후에 외상성 스트레스장애, 스트레스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외상 후 증후군, 외상 후 스트레스라고 한다. 주로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에서 벗어난 사건들이다. 화재, 천재지변, 신체적 폭행, 전쟁, 강간, 고문, 성폭행, 소아 학대, 인질, 비행기, 자동차, 선박, 기차 등에 의한 사고. 대형사고 등을 겪으면, 그 후에 발생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충격 후에 갑자기 시작될 수도 있고, 수일, 수주, 수개월이나 수년이 지나서 발생할 수도 있.. 2024. 2. 2.
방어기제 유형 정리 부정 원시적인 방어기제다. 아동과 심한 정서적인 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한다. 위협적인 현실에서 눈을 감아 버리는 것인데, 불안을 방어하는 수단이다. 사람들은 불안을 일으키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거부한다. 예를 들어서,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는 그 죽음 자체를 부정하던지, 전쟁의 공포를 없애기 위해서 그 비참함에 눈을 감아 버린다는 것이다. 억압과 억제 프로이드는 일차원적인 자아 방어로 간주했다. 이는 더욱 정교한 방어기제의 수단이 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불안함을 가장 직접 회피하기 때문이다. 억압은 의식하기엔 너무 고통스럽거나 충격적이라서 무의식적으로 억눌러버린다. 이 억압이 다른 방어기제나 신경증적인 증상으로 기초가 되지만, 억제는 의식적으로 느낌이나 생각을 눌러버리는 것을 말한다. 즉, ‘욕구불만.. 2024. 2. 2.
자아와 초자아 심리학 발달 심리학 속에서 ‘외부환경과 상호적 작용과정에서 획득한 자신에 대한 이해’를 자아로 정의한다면, 정서적 자아는 생후 15개월 전후로, 지속적인 형태로 발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지 심리학에서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보고 인지한다는지, 부끄러운 것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과 자아의 초기발달, 그뿐만 아니라 여성이나 남성으로서 자아나 사회적인 구성원으로 자아의 정체감 등. 자아는 유아->아동->청소년->성인 이후 등 계속해서 발달하고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에스(Es) 무의식중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무의식적인 방위를 제외하여 욕구, 감정, 과거, 충동에서 경험이 차 있는 부분이라고 한다. 본능 에너지가 차 있으며, 인간의 동기가 되는 공격성(죽음 충동)과 성욕동(리비.. 2024. 2. 2.